반응형
건축물 부위별 단열재
-
건축물 단열설계-2: [2023년] 단열재 등급 및 지역별, 부위별 단열 설계기준건축/건축 실무 2023. 4. 21. 02:29
대한민국은 같은 여름이거나 같은 겨울이라도 지역별로 온도차이를 느낄 수가 있습니다. 따라서 건축물도 설계 시 지역별로 다른 단열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경기북부와 제주도는 다른 기준을 가질 수밖에 없겠죠. 특히 건축물에서 단열재는 [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]에 제시된 단열재를 사용해야 하며 지역과 부위에 따라 등급별 허용 두께 이상의 단열재를 사용해야 합니다. 이 포스팅은 2023년 2월 28일부터 시행중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[국토교통부고시 제2023-104호, 2023. 2. 28., 일부개정]를 근거로 작성되었습니다. # 지역 특히 한국은 크게 중부 1 지역, 중부 2 지역, 남부지역 그리고 제주도로 나뉘며, 각 구역별 해당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. 중부 1 지역: 강원도(고성,..